• 아시아투데이 로고
‘생산성 혁신’ 나선 산업부, ‘일 잘하는’ 공기업 만들기에 앞장

‘생산성 혁신’ 나선 산업부, ‘일 잘하는’ 공기업 만들기에 앞장

기사승인 2014. 08. 27.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발전 5사 등 에너지 공기업 17곳의 ‘생산성 혁신’을 외치며 직접 관리에 나선다. 공기업의 과도한 부채 및 방만경영이 도마에 오른 가운데 에너지 공기업의 생산성이 매년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산업부 관계자는 “하반기부터 산업부가 공기업의 생산성 추진계획에 대한 계량적인 지표관리를 하기로 했다”며 “27일 공기업 관계자들과 구체적인 생산성 추진계획에 대해 실무선에서 논의를 하고 올해는 발전5사를 중심으로 성과를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생산성은 근로자·투자금·기술 등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이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공기업의 생산성이 높아지면 적은 근로자나 투자로도 높은 수준의 공공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공공요금이 낮아지는 효과로 이어진다.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발전5사는 최근 5년간 생산성(영업이익/임직원수)이 계속 하락했다. 남동발전은 임직원 1인당 생산성이 2009년 1억1080만원에서 2013년 4280만원으로 감소했다. 동서발전도 8770만원에서 1510만원으로 줄었다.

이에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지난 3월 공공기관 경영 정상화를 위해 ‘생산성 향상’을 강조했다. 업무조정과 효율적인 인력 배치 등 생산성 향상이 뒤따르지 않는 개혁은 의미가 없다는 판단 아래 ‘일 잘하는’ 공기업으로 거듭나라는 강한 의지를 보인 것이다.

이에 17개 에너지 공기업들은 윤 장관의 지시에 따라 노동·자본·지식 분야로 나눠 자체적으로 생산성 향상 대책을 마련했다.

남동발전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조직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로 했다. ICT를 발전산업에 접목해 전 발전소를 스마트 발전소로 구축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중부발전의 경우 노동생산성 분야는 ‘해외사업 운영 극대화를 통한 추가수익 창출’, 지식생산성 분야는 ‘신기술 공유로 발전설비 운영비용 절감’을 진행했다.

하지만 각 기관별로 추진체계와 관리가 상이하고, 목표와 성과가 수치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문제로 작용했다. 이에 산업부는 각 기관별로 수치화된 결과중심의 성과지표를 낼 수 있는 생산성 추진계획을 다시 세우라고 지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국가의 통제를 받기 때문에 생산성 지표 변화가 많을 수밖에 없다”며 “이번 추진 계획으로 공기업이 요금이나 환율 등 외부적 통제요인에 의해서 영향받는 것을 제외하고, 자체적인 노력만으로 올린 부가가치를 측정해서 계량적인 지표관리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수사례로 선정된 동서발전의 경우 생산성 향상 계획으로 ‘당진화력 전호기 무고장 문화’를 목표로 제시해 달성했다. 그 결과 손실금액이 지난해 91억원에서 현재 0원으로 절감됐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